[중급회계]

[중급회계] 제 3장 공정가치 측정과 현재가치 - 공정가치 측정 (4)

frf 2022. 10. 4. 22:24

최초 인식시점의 공정가치

 

 

 

1. 자산을 취득하거나 부채를 인수하는 경우 거래가격(transaction price)(역사적원가)은 자산을 취득하면서 지급하거나 부채를 인수하면서 받는 가격(유입가격) 이다. 이와 반대로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는 자산을 매도할 때 받거나 부채를 이전할 때 지급하게 될 가격(유출가격) 이다.

 

 

 

2. 많은 경우에 거래가격은 공정가치와 같다. 최초인식하는 공저가치와 거래가격이 다른경우에는 (별도의 규정이 없는한) 이로 인한 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한다.

 

 

 

 

정보

일반적으로 자산이나 부채를 최초인식할 때에는 거래가격(역사적원가)로 측정하여 인식, 하지만 예외적으로 생물자산과 수확물은 해당 자산의 순공정가치로 최초인식하며, 금융자산과 금융부채는 공정가치로 최초인식한다.

공정가치로 최초인식하는 자산과 부채의 최초인식시 공정가치와 거래가격이 다르지만, 차이금액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지 않는 예는 다음과같다.

1) 유형자산 취득시 불가피하게 매입한 국공채(해당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 가산.)
2)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이자율로 차입한 정부차입금(정부보조금으로 인식.) 

 

 

 

 

 

 

 

 

 

 

출처 - IFRS 김승철 중급회계 상(2판) 제 3장 공정가치 측정과 현재가치 평가 (해커스경영 출판) - 김승철 강의